반응형
LS 차단기를 선정하다보면 AB 다음에 N S H L 이렇게 글자가 붙는데 이게 무슨뜻인지 알아보겠습니다.
위의 표를 보세요. 좌측 상단에 Type / AF 가 있죠?
AF 는 30AF ~ 1200AF 까지 있습니다. 이것은 프레임 즉 외형으로 숫자가 클 수록 제품이 커집니다.
Type 은 N, S, H, L 이 있습니다.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같은 프레임에서 N 보다는 S 가 KA수가 높습니다. S 보다는 H 가, H 보다는 L 이 더 고용량의 KA를 기록하고 있죠.
MCCB 관련포스팅 참조
MCCB 배선용 차단기 / ELCB 누전차단기
전기를 제어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장품 중에 제일 먼저 들어가는 것이 차단기입니다. 어떤 부하를 제어하든지 상관없이 무조건 들어가야 하는 것이죠. 껐다 켰다 어려울 것이 없을 것 같은데요.
sohigeonmin.com
KA수가 뭐냐고요? 이전 포스팅 글의 링크를 달아 드리겠습니다.
차단기 - 정격전류(A) 정격차단전류(kA)
차단기 - 정격전류(A) 정격차단전류(kA)
차단기를 가만히 보면 정격전류와 정격차단전류가 있는데 헷갈려 하는 분들이 많아서 설명해 보았습니다. 차단기의 종류와 기능도 같이 알아보았습니다. 목차 차단기의 구분 1. 누전차단기 ELB(E
sohigeonmin.com
KA 수는 정격차단전류로서 차단기가 전기를 차단할 수 있는 한계를 수치로 타나낸 것입니다.
KA 는 키로 암페어의 약자 입니다.
'전기와주변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기 전력 이해: 작동 방식 및 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 (0) | 2023.03.20 |
---|---|
모터의 정격 전류를 계산하는 방법 (0) | 2023.03.16 |
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트립특성 (0) | 2023.03.16 |
권선형 유도전동기와 농형 유도전동기의 차이점 (0) | 2023.03.16 |
전기장판을 사용하면 성장 호르몬에 영향을 미칠까? (0) | 2023.03.15 |
댓글